top of page

Korean Health-ITUES 

(한국형 건강정보 기술 사용성 평가도구)

그림1.png

모바일앱의 품질과 유용성을 평가하는 도구로 Brown etal(2013)이 개발한 Health-ITUES도구를
Lee & Schnall (2022)이 한국어로 번역하고, 한국여성을 대상으로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였습니다.
총 20문항으로 하위영역은 효과 3문항, 인지된 유용성 9문항, 인지된 용이성 5문항, 사용자 제어 3문항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.

MELLO-D 연구원.png

Korean Health-ITUES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                       (한국형 건강정보 기술 사용성 평가도구)

스크린샷 2023-09-12 21.38.34.png

Digital Readiness: mobile Digital Health Literacy and Equity Scale (mDiHELES)

디지털 준비도: 모바일 디지털 문해력 및 형평성 평가도구 

- 본 도구는 모바일 건강정보 이해 능력 및 디지털 헬스 형평성 측정을 위하여 Lee&Lee(2022) 개발한 설문

   도구이며, 국내에서 IBD 환자(420명)를 대상으로 Focus Group Interview, 2차례의 전문가 I-CVI 검증을

  실시하였으며 mDiHELES의 신뢰도는 Chronbach α= .84 ~ .91이상으로 디지털 준비도를 평가하기에

  우수한 도구로 입증 되었습니다. (현재 논문화 작업 중)

- mDiHELES는 총 29문항으로 디지털 준비도 관련 특성 5문항, 모바일 기기 친숙도 10문항, 모바일 디지털

   헬스 문해력 6문항, 모바일 디지털 헬스 형평성 5문항, 모바일 헬스 앱 및 기기 중요성 인식 3문항입니다.

한글과 영문 버전이 있으며 텍스트와 이미지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
스크린샷 2023-09-12 21_edited.jpg

Figure 2. Digital Readiness: mobile Digital Health Literacy and Equity Scale (mDiHELES)의 일부

Reference

Brown W, Yen P, Rojas M, Schnall R. Assessment of the Health IT Usability Evaluation Model (Health-ITUEM) for evaluating mobile health (mHealth) technology. J Biomed Inform 2013

Dec;46(6):1080-1087

Lee J, Schnall R

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Usability

Evaluation Scale: Psychometric Evaluation

JMIR Med Inform 2022;10(1):e28621

last update : september 13, 2023

bottom of page